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기준중위소득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? 기준중위소득은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 등 복지혜택 대상자 선정을 위한 중요한 지표입니다. 본문에서 2025년 기준중위소득 확인 및 계산방법 (급여별 대상여부)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     

    내가구 중위소득

     

     

    기준중위소득이란?

    기준중위소득은 우리나라 국민의 가구소득 중간값으로 쉽게 말하면 모든 가구의 소득을 일렬로 쭉 나열했을 경우 딱 중간에 위치한 값을 의미합니다. 기준중위소득 값으로 기초생활보장 제도와 여러 사업의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 등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 선정에도 기준이 됩니다.

     

    내가구 중위소득으로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내가구 중위소득아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기준중위소득기준중위소득기준중위소득
    기준중위소득

     

    2025년 기준중위소득

   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4인가구 기준으로 6,097,773원입니다. 우리 집이 4인가구이면서 월 6백만원 정도 벌 경우에는 우리나라 중간정도는 되는구나 하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결국 생계급여 대상인 32%이하가 되려면 4인가구 기준으로 월 1,951,000원 이하를 벌어야 합니다.

     

    2025년 기준중위소득은 2024년 573만원에 비해 6.42% 상승했으며 매년 상승률이 계속 오르고 있는 추세입니다. 

     

    기준중위소득
    기준중위소득

     

    또한 1인가구 기준으로는 2024년 2,228,445원에서 2025년 2,392,013원으로 7.34% 인상되었습니다.

    각 가구별 기준중위소득은 아래와 같습니다.

     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
    기준중위소득 2,392,000원 3,932,000원 5,026,000원 6,097,000원

     

    중위소득 계산방법

    내가구의내 가구의 중위소득은 얼마정도 될까요? 내가 위치한 수준에 따라 복지혜택이 달라지므로 정확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. 내 가구의 중위소득은 가구소득 인정액 또는 건강보험료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. 두 가지 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     

    1. 가구소득 인정액으로 계산

    가구소득 인정액은 월 소득평가액과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의 합입니다. 여기서 월 소득평가액은 월 소득에서 가구특성별 지출비용 등을 차감한 금액입니다. 재산 소득 환산액은 재산에서 부채를 차감하여 소득환산율로 계산한 금액입니다.

     

    가구소득 인정액 = 월 소득평가액 + 재산 소득 환산액

     

    나의 가구 소득인정액아래에서 계산이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소득인정액 모의계산
    소득인정액 모의계산

     

    복지로사이트에서는 비회원으로 가능하고 국민연금사이트에서는 회원 가입 후 확인이 가능합니다. 국민연금은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계산을 얻고 싶으면 국민연금을 추천드립니다.

     

    2. 건강보험료로 계산

    건강보험료로 계산하는 방식은 건강보험료를 토대로 가구소득 인정액을 계산합니다. 이 방식이 가능한 이유는 건강보험료가 가구 소득기준과 재산을 반영해서 납부액이 정해지기 때문입니다. 따라서 건강보험료를 역추적하면 가구 소득과 재산을 구할 수 있으므로 가구소득 인정액도 구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먼저 건강보험 납부액을 확인해야 합니다. 건강보험 납부액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건강보험 납부액은 건강보험공단에서 "민원요기요 > 개인민원 > 증명서발급/확인 > 보험료 납부확인서"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건강보험료 확인
    건강보험료 확인

     

   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이 확인되면 그 금액을 토대로 내 가구가 중위소득 몇 %에 해당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직장가입자 또는 지역가입자별로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, 가구 내에 직장가입자, 지역가입자가 모두 있는 혼합가구도 확인이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건강보험료를 토대로 한 내가구 중위소득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중위소득 확인중위소득 확인중위소득 확인
    중위소득 확인

     

    급여별 대상여부 기준

    각 급여별 대상여부 기준은 생계급여 32%, 의료급여 40%, 주거급여 48%, 교육급여 50%입니다. 4인가구 기준으로 보면 생계급여는 1,951,287원, 의료급여는 2,439,109원, 주거급여는 2,926,931원, 교육급여는 3,048,887원 이하입니다.

     

    각 가구별 급여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(단위 : 만원)

    급여 기준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
    생계급여 32% 76.5 12.58 160.8 195.1
    의료급여  40% 95.7 157.3 201.0 243.9
    주거급여 48% 114.8 188.8 241.2 292.7
    교육급여 50% 119.6 196.6 251.3 304.9

     

     

    급여 선정기준
    급여 선정기준

     

    마치며

    지금까지 2025년 기준중위소득 확인 및 계산방법 (급여별 대상여부)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. 내 가구가 중위소득 몇 %인지에 따라서 복지혜택에 많은 차이가 납니다. 내 가구 중위소득 확인하셔서 급여별 혜택을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 

     

     

    중위소득 확인중위소득 확인중위소득 확인
    중위소득 확인